로고

로고

도서정보
『피카소가 사랑한 아프리카 조각 예술 길라잡이』 "아프리카 조각, 현대미술의 숨겨진 원천을 만나다!" 아프리카 조각 예술이 현대미술의 비밀스런 뿌리였다는 사실을 아는가? 피카소, 마티스, 자코메티, 바스키아, 모딜리아니, 키스 해링 등 현대미술의 거장들은 아프리카 조각에서 영감을 얻어 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러나 정작 아프리카인들은 이 위대한 문화유산의 가치를 모르고, 서구 예술가들은 이를 통해 전위미술의 혁명을 이루었다. 이 책은 아프리카 조각의 예술성과 철학, 조형미를 깊이 있게 탐색하며 현대 예술, 영화, 애니메이션 캐릭터까지 어떻게 그 영향을 받았는지를 흥미롭게 풀어낸다. 배트맨, 스타워즈, 베놈, 가오나시, 혹성탈출의 캐릭터들이 수 세기 전 아프리카 부족의 조각과 얼마나 닮아 있는지, 그 연결고리를 찾아가는 탐험은 인디아나 존스를 방불케 한다. 특히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이 아프리카 조각에서 비롯되었으며, 그가 직접 수집했던 가면과 조각이 입체주의의 출발점이 되었음을 밝힌다. 더불어, 아프리카의 가면과 조각에서 유래된 유럽 현대미술, 패션, 디자인의 근원을 추적하며 인공지능 시대에도 풀어내지 못할 신화적, 철학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저자는 세계 각국의 헌책방과 미술관, 박물관, 경매장, 아프리카 현지를 누비며 수집한 방대한 작품과 자료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조각 예술의 깊이를 소개한다. 책 속에는 아프리카 예술품의 경매가, 세계적 박물관 소개, 저자의 컬렉션과 함께 현대미술과의 긴밀한 관계가 생생하게 담겨 있다. 플리니우스 대제가 말한 "아프리카는 항상 새로운 것을 가져온다"는 속담처럼, 이 책은 미술사와 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안내서다. 예술가, 예술 애호가, 문화 연구자는 물론, 영화와 캐릭터 디자인, 인문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아프리카 조각에서 현대미술의 비밀이 열린다. 새로운 시각의 예술 안내서, 지금 만나보라!"
2025.07.31
2025.07.10
『육체천자문』 - 전통 속 지혜를 오늘에 새기다 천자문은 오랜 세월 동아시아 교육의 기초가 되어온 대표적인 한자 학습서입니다. 『육체천자문(六體千字文)』은 이러한 천자문에 **전서(篆書), 예서(隸書),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 송조체(宋朝體)**의 여섯 가지 서체를 함께 수록한 보기 드문 명본으로, 글씨 하나하나에 다양한 서예 미감과 정신이 깃들어 있습니다. 본서는 조선 후기부터 근대까지 학문과 예술을 겸비한 이들에게 필사와 학습, 심지어 교양을 위한 필독서로 사랑받았으며, 특히 서예를 익히려는 이들에게는 필수 입문서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천자의 구성과 배열이 단순한 학습을 넘어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메시지를 품고 있어, 글자 공부와 인격 수양을 동시에 꾀할 수 있는 고전이기도 합니다. 이번 영인본은 오래된 원본을 바탕으로 하여 활자와 판각의 미를 최대한 살리면서도 현대 독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전통 서체의 다양성과 아름다움, 한자 교육의 깊이를 다시금 되새기게 하는 이 책은 **학생, 교사, 서예가, 고전 연구자** 모두에게 값진 자산이 될 것입니다. **■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전통 한자 교육 자료를 찾는 독자 - 서체별 비교와 학습이 필요한 서예 입문자 및 지도자 - 고전을 통해 인문 소양을 함양하고자 하는 독서가 - 역사적 가치를 지닌 한자 교재를 소장하고 싶은 수집가
2025.04.20
2024.11.11
한글 서예 에세이 “먹만 남다” 홍순관의 한글서예 에세이 『먹만 남다』가 출간된다. 이 책은 오랫동안 우리 정서와 감성을 담은 노래를 해왔던 싱어송라이터의 서예 이야기다. 그 노래는 노랫말을 포함하기에 그가 그간 걸어왔 던 노랫길은 그가 서예를 하며 스스로의 글씨를 쓸 수 있었던 뿌리가 되었다. 이 책은 홍순관이 어릴 적 어떻게 서예길에 들어가게 되었는지, 어떤 방법으로 배웠는지, 어떤 생각을 품고 글씨를 쓰는지, 무엇을 써야 하는지 이른바, 서예가 무엇인지를 섬세하면서도 느긋한 문장으로 쓰고 있다. 서예라는 용어와 역사, 한글서예를 둘러싼 우리의 현실 또한 그의 시선으로 다시 풀어 놓았다. 그의 문장들은 먹을 갈 듯 고요하며, 마치 눈앞에서 붓으로 글씨를 쓰듯 현장 감이 맴돈다. 저자 홍순관은 조선을 넘어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자서예에 집중하는 ‘한국서예동네’를 슬퍼하며 한국인만이 이어 나갈 수 있는 글씨의 문화가 곧 한글서예임을 절절한 문장으로 이야기한다. 자기 가 말한 것을 한 번도 종이 위에서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그들의 소리를 바탕 삼아 문자를 만들어 선물한 것이 세종의 정음이다. 한글서예란 그 정음을, 곧 우리가 말하는 일상의 소리들을 쓰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지식을 드러내거나 권위를 앞세우는 문장이 아니라 싱거운 일상과 소탈한 말들이 인격이 되어 글씨로 나타나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이 한글서예에 임하는 태도이며 훈민정음을 실천하는 길이라고 말한다.
2024.09.30

55045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15 (교동 65-5) 공예품전시관 TEL 063-281-1610 FAX 063-232-8889 관리자 로그인

쇼핑몰
공예공간
shop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