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로고

도서정보
세계적 조각가 문신(文信, 1922-95)의 생애와 작품을 통해 융합과 조화의 미학을 다룬 책이다. 문신 예술의 주요 키워드인 시메트리(Symmetry)는 대칭 또는 균형으로 번역되며, 물체를 반으로 나누었을 때 양측이 똑같은 경우를 말한다. 문신의 작품에서 시메트리가 의미하는 바는 자연의 섭리이자 생명의 법칙, 즉 하나의 우주 그 자체다. 문신은 자신이 발 딛고 서 있는 물질적 땅에서 비물질적 가치를 이끌어낸다. 불가항력적 환경 안에서 이루어내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믿었던 문신이었다. 극단과 극단 사이를 횡단하는 그의 태도는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 스타일에서뿐만 아니라 동서양을 누빈 삶의 노정에서도 묻어난다. 문신 예술에서 시메트리는 그의 삶에서 계속해서 묻어나오던 소통과 상생의 의미를 가진다. 그의 작품에서 반복되는 시메트리 형식의 고정된 사용은 소통과 상생의 절대적인 가치를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쓰였다. 절대 법칙으로서의 시메트리 안에서 그는 자유를 말하고자 했다. 문신 조각에서 주로 쓰이는 재료 스테인리스강은 관람자뿐만 아니라 놓이는 환경까지 반영한다. 낮과 밤, 도시와 정원 사이에서 우리는 ‘같은’ 조각을 두 번 다시는 볼 수 없다. 하물며 단일 존재마저 주변 환경에 의해 달라지는 세상 속에서 “이질적인 개체들이 하나의 지평 위에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는 문신의 작품”(83쪽)은 우리에게 존재에 대한 너그러움까지 안겨준다.
2022.07.30
미학이 철학으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적 학문으로 독립하게 된 것은 근대에 이르러서였다. 1750년 독일의 철학자 바움가르텐(A.G.Baumgarten, 1714-1762)이 미학적 담론을 감성적 논리로 새롭게 체계화한 『sthetik』(영문명 aestetics, 미학·감성학·감성적 인식·감성적 인식학 등)으로부터 출발한다. 미학은 비교적 뒤늦게 출발한 독립적 분과학인데다, 우리들의 실생활에 절실한 학문이 아니라서 낯선 신생의 학문처럼 느껴진다.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서예미학書藝美學 역시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우리에겐 무척 낯선 신생의 학문이다. 3천여 년 전 갑골문甲骨文을 비롯한 여러 서체의 한자漢字가 출현한 후 여러 뛰어난 학자들과 서예가들, 예를 들면 주역周易의 여러 저자들과 진대秦代의 이사李斯, 한대漢代의 양웅揚雄·허신許愼·채옹蔡邕, 위진남북조대魏晉南北朝代의 왕희지王羲之·왕승건王僧虔, 당대唐代의 우세남虞世南·손과정孫過庭·이양빙李陽氷·안진경?眞卿 등의 서예미학사상에 관한 기록들이 오늘에 전해지고 있다는 데서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서예미학은 그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현대적 의미의 연구는 20세기 중반 중국에서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1970년대 말 서예열書藝熱과 미학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하면서 본격화되었기에 낯선 신생의 학문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우리 한국의 경우 서예미학의 학술적 연구는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양적 질적으로 큰 차이를 이루며, 연구할 수 있는 인적 자원도 크게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심하게 말하면 서예문화의 학술적 연구에 관한 한 황무지 개척기나 다름없다고 하겠다. 그나마도 ’88세계올림픽 대회의 개최를 계기로 세계를 향한 문호 개방과 함께, 원광대·계명대·대구예술대·대전대 등에 서예학과가 개설되어 크게 기대하기도 하였으나, 서예의 학술적 연구와는 거리가 먼 현대식 서예학원에 머물고 말았으며, 그나마도 지금은 폐과되어버린 실정에 놓여 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1998년 한국서예학회가 창립되고, 1999년 한국동양예술학회가 창립되며, 2007년 한국서예비평학회가 창립됨으로써 비로소 서예의 학술적 연구 분위기가 진작되기 시작하였다. 여기 더하여 2000년 21세기의 도래와 함께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에 서예미학 전공 석사과정이 개설되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유학과에 동양미학 전공 박사과정이 개설되므로써 바야흐로 서예의 학술적 연구가 활기를 띠기 시작하였다. 서예 관련 여러 학회의 창립과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의 서예미학 전공 석사과정 개설 및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유학과의 동양미학 전공 박사과정 개설은 나의 서예미학 연구와 결코 무관치 않다. 본시 나의 대학 강단활동은 중국철학, 특히 공맹유학과 노장학, 그리고 공맹유학의 창조적 계승·전개인 양명학의 연구와 강의 활동이었으며, 서예미학과는 전혀 관계 없이 이루어졌다. 이후 서예 관련 학회를 창립하고,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서예미학과 동양미학 전공 과정을 개설하면서 나의 학문적 관심은 서예미학으로 급속히 경도되어 갔다. 태어나면서부터 묵향 속에서 자라고, 일상적인 서예 체험과 서예 창작의 과정으로 다져진 나의 생활이 학회에서의 발표와 석·박사과정 학생들을 교육하고 지도해야 한다는 책임감과 하나로 맞물리면서 나의 서예미학(동양미학)에 대한 관심은 빠르고 자연스럽게 열려 갔다. 나의 학문적 연구와 독서 및 강의 활동을 통한 자각적 자득自得은 한국의 전통철학과 중국철학, 특히 공맹유학孔孟儒學과 노장학老莊學, 그 중에서도 공맹유학의 창신적 계승인 양명학陽明學이 모두 심학心學이라는 사실이다. 특히, 양명심학은 모든 존재와 가치의 본체를 인간 개개인의 선천적 본래마음, 즉 양지良知에 두고, 그 자연스러운 발현과 전개를 삶과 학문의 주제로 삼는다는 점에서 그 어떤 미학사상도 양명심학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는 그동안 서예비평과 신서예정신 및 서예미학사상 등에 관한 글들을 틈틈이 써온 바 있다. 이제 나이 팔순八旬을 넘어 이책 저책들에 산재해 있는 서예미학사상에 관한 글들을 다시금 가려 뽑아 약간의 수정을 거친 후, 한 권의 책으로 엮고, 『서예미학사상 산고書藝美學思想 散稿』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내놓는다. 이는 나의 학문적 업적을 세상에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다. 서예미학사상에 관심을 기울이며 삶을 살아간 한 독서인讀書人으로서, 그 자취를 한 곳에 모으는 작업 자체가 무척 즐겁기 때문이다. 여기 더 이상 무엇을 바라겠는가. 2022년 푸른 5월에 송하경 적다
2022.06.21
꽃예술이란 “작가가 자연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예술성을 발현시키는 것”이다. 114개의 다양한 꽃작품과 식물 사진을 풍부하게 수록하여 꽃예술의 세계를 체계적으로 이론화하여 새로운 관점을 보여주는 책이다. 이 책은 꽃예술에 대한 체계적인 창작이론서이다. 각 장은 예술론에 기반한 꽃예술 창작론과 꽃예술 창작을 위한 조형론, 꽃예술의 확장을 위한 오브제의 활용 및 심리를 적용한 꽃예술론으로 구성되었다. 꽃예술이란 “작가가 자연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예술성을 발현시키는 것”이라는 이해에 따라 ‘예술에 자연을 담다’라는 부제를 달았다. 이 책은 우선 생활에서 하나의 목적을 위해 창작되는 꽃작품에서부터 전시를 위한 꽃작품에 이르는 꽃예술의 다양한 작품세계를 살펴보고 꽃예술의 정의 와 목적 및 다양한 영역의 이해로부터 출발한다. 꽃예술 작품의 매체인 자연재료를 그 계절적 특성과 활용방식으로 분류하고 사진을 수록하여 그 특징들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의 특성은 꽃예술 창작에 대해서 ‘모방’, ‘추상’, ‘상상’, ‘표현’의 예술론을 적용하여 꽃예술 창작의 다양성을 해석하고 화형법을 넘어 열린 방식의 창작법을 제시하는 것에서 보인다. 더 나아가 실제적 꽃예술 조형을 위해서 양감·질감·운동감·색의 조형요소와 통일과 변화 및 균형과 비례의 조형원리를 다루고 이를 적용한 작품들의 예시를 통해 조형적 해석을 구체화하였다. 꽃예술의 확장적 관점은 다양한 오브제를 활용한 꽃작품의 세계뿐만 아니라 꽃예술이 갖는 치유적 효과와 색채심리 및 도형심리에 이르기까지, 꽃예술을 보고 경험하는 다양한 방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마지막 15강에서는 꽃예술의 기획과 전시에 관한 내용을 다룸으로써 꽃예술의 세계를 체계적으로 망라하도록 하였다. 각 장의 내용은 우선 그 장에서 중점되는 개념을 설명한다. 그리고 그 개념에 부합하는 작품의 예시를 풍부하게 들어 설명하고 있다. 각 장의 마지막 부분에는 창작을 위한 생각들을 작품의 계획과 창작, 창작이후 함께 소통하며 비평하는 논점을 제시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 114개를 수록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논점들을 해석해나가는 이 책은 꽃예술가와 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는 독자에게 자연성을 극대화하여 예술성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이끌 것이다. 이 책은 꽃예술을 애호하는 일반독자들에게 뿐만 아니라 교육 제도 속에서 교재로 혹은 학사·석사·박사 과정에서 강의할 수 있도록 편집되었다.
2022.06.20
[서문] 전통 자수를 접할수록, 복식뿐만 아니라 장신구류, 생활용품류, 침구류, 장식류, 종교용품류에 수(繡)가 얼마나 폭넓게 선인들의 삶을 빛나게 했는지 조금씩 느껴졌다. 한 올 한 올의 실로 자수한 문양마다 개별적인 의미를 담고 있지만, 각각의 문양들이 서로 어우러져 전체적 의미가 새롭게 부여되기도 하고 더욱 강조가 되기도 하는, 집합적 조화를 이루는 것을 보았다. 마치 우리 민족성과 같은 동질의 예술세계를 바탕천 위에 수놓아 펼쳐 놓은 것이다. 자수는 사용자가 무엇을 표현하고, 바라고, 전하고 싶은지를 대변하는 무언의 메시지(message) 전달 역할을 한다. 예로써, 왕은 자신의 존재를 가장 잘 표현하는 문양을 선택하고 귀한 금사 또는 은사로 아주 세밀하고 정교하게 자수한 보(補)를 가슴과 등 그리고 양어깨에 부착하였다. 이러한 표상적(表象的) 의미는 왕비를 비롯한 왕가와 관료에게도 해당된다. 자수된 문양 속에는 소망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함께 수놓아져 있기에 3자(수 놓는 자, 사용자, 보는 자)의 스토리텔링이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공유하고 소통하기 충분하다. 자수는 예술적 아름다움이 있다. 문양에 따라 자수 기법을 달리하면서 색감적 조화를 이루고 볼륨을 주어 입체적 효과를 준다. 평면 위에 공간을 느끼게 하는 예술성이다. 자수는 희망과 꿈 그리고 행복을 추구하는 긍정적인 영역을 확장하는 데 일조(一助)한다. 자수는 곧 인문학적 예술인 것이다. 이러한 전통 자수의 맥을 잇는 분들의 위대한 선택을 존경하며 그 분들의 역할에 감사드린다. 필자는 전통 자수에 대해 전문 지식이나 기능은 갖추지 못했지만, 전통 자수가 엄청난 매력을 지니고 있음을 잘 알고 있다. 시대를 망라(網羅)하고 복식을 빛내는 전통 자수에 이끌려 이 글을 쓰게 되었다. 깊지 못한 탐구와 짧은 소견에 불과하지만 부족함을 뒤로하고 전통 자수 이야기를 정리해 본다. - 서문 중에서(이봉이)
2022.03.18

55045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15 (교동 65-5) 공예품전시관 TEL 063-281-1610 FAX 063-232-8889 관리자 로그인

쇼핑몰
공예공간
shop바로가기